
AI 스마트 공장
AI 스마트 공장은 수평적 연결되어야 한다. 1인 기업인 경우에는 전체 프로세스를 한 사람이 모두 총괄하기 때문에 수평적 연결에 관심이 없다. 하지만 기업이 성장하고 구성원이 늘어나면 조직이 생기고 부서별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조직을 운영하기 위해 영업, 연구개발, 생산, 품질, 물류 등 각각의 기능 부서들은 업무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 시스템들이 하나의 기능부서, 하나의 공정에서 최적일 수 있으나 전체를 볼 때는 최적이 아닌 경우가 있다. 또 기업의 조직이 커지고 정보가 단절되어 있으면 갈등과 불신이 발생할 수 있다. 영업은 생산을 믿지 못하니 긴급 주문이라는 명목으로 생산을 압박하고 제조하고 재고를 쌓아둔다. 개발은 생산의 실력이 부족하다하고 생산은 개발팀이 공장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불만이 많다. 수평적 연결은 기능부서 연결만 의미하지 않으며 사업장 간의 연결을 포함해야 한다. 기업이 다수의 국내, 해외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는 공장 간에 수평적 연결이 필수적이다.
AI 스마트공장은 수직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수직적 연결은 공정에 필요한 센서나 작동장치를 연결하고 HMI를 구성 하면 되는 것이다. 또 ERP와 같은 기간시스템은 주로 경영자들은 관심사항이기 때문에 하위 제어시스템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었다. 지금까지 상위 시스템은 전산화의 개념으로 구축되었으며 하위시스템은 공장자동화의 개념으로 진행되었다. 수직적 연결은 기업 내부의 수직적 연결만 의미하지 않으며 협력하는 기업들과의 연결을 포함해야 한다. 제조 기업들은 핵심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여차 기능들은 외주화하고 있다.
AI 스마트공장은 눈에 보인다. 사람은 오감으로 정보를 수집 한 다음 지능으로 분석하여 행동을 취한다. 정보가 없으면 올바른 행동을 기대할 수 없다. 수평적 연결과 수직적 연결은 기업경영의 필요한 모든 것을 보이게 하는 가시화의 첫 출발 이라고 할 수 있다. 눈에 보이면 문제를 초기에 발견 할 수 있다. AI 스마트 공장은 데이터경영이 필수적이다. 기업의 조직을 보면 대표이사를 정점으로 하여 하위 조직으로 갈 수록 인원이 많아지는 계층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상위 지급으로 갈수록 급여가 높은데 이것은 의사결정 비용이다. AI 스마트 공장은 똑똑한 공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