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미래연구소/디지털화폐

비트코인 메커니즘

비트코인 메커니즘


비트코인은 디지털 데이터로 이루어진 가상회폐다. 가상화 폐는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해 지불을 두 번 하는 행위인 중복 사용, 가짜 데이터로 지불하는 행위 등의 일반적으로 취약하다. 그래서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비트코인은 암호 기술을 도입했다. 즉, 디지털 서명이 라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전자적인 데이터에 대해 이루어지는 전자적인 서명으로 종이 서류의 실제 설명이나 날인에 해당하는 기능이다. 비트코인의 데이터에는 그 소유자의 서명이 첨부되어 있고 올바른 설명이 가능한 사람만이 거래를 할 수 있다. 송신자는 비트코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신의 디지털 서명을 첨부에서 보내고 수신자는 그 서명이 확실이 송신자의 것인지 확인한다. 이로써 비트코인을 보내 사람이 확실히 서명자일 것, 통신 도중에 금액이 변경되지 않을 것, 서명자가 비트코인을 보냈다는 사실을 나중에 부정하지 않을 것 등이 조건이 만들어진다. 비트코인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서명을 체인 모양으로 연결함으로써 비트코인 주고받기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것이 기본 원리다.
비트코인 의 블록체인이라는 핵심 기술을 사용한다. 이는 일정 시간의 거래 묶음을 시계열로 체인처럼 연결해서 기록해 나가는 구조다. 비트코인 거래를 적어넣는 장부가 체인모양으로 이루어져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참가 멤버들이 이 블롣을 차례차례 서로 올바른 것이라고 승인함으로써 데이터 조작이나 중복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정당한 비트코인 소유자가 수취인A와 수취인B에게 동시에 같은 코인을 양도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어느 한쪽만을 올바른 거래라고 결정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이전까지 정당한 거래 데이터를 활용해서 다음의 정당한 거래 데이터를 승인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이다.
거래 데이터에는 송금액과 송금인 등의 거래 정보가 포함된다. 비트코인에서는 10분당 하나꼴로 블록을 작성하고 그 10분간의 거래 데이터가 블록에 수납된다. 즉 10분마다 그사이에 이루어진 거래의 정당성이 확인되고 이후의 거래로 이어져가는 것이다. 해시값이란 원래 데이터에서 일정한 계산 방법으로 구해지는 규칙성 없는 고정 길이의 값을 말한다. 원래 데이터에서 해시값을 구하는 계산법을 해시 함수라고 말한다. 해시 함수는 동일한 데이터로는 반드시 동일한 해시값을 출력하지만 조금이라도 데이터가 달라지면 완전히 다른 해시값을 만들어낸다.

'N미래연구소 > 디지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이 화폐가 될 것인가  (0) 2021.02.15
비트코인 채굴시스템  (0) 2021.02.15
비트코인 작업증명  (0) 2021.02.14
가상 화폐 P2P 네트워크  (0) 2021.02.13
블록체인 기술  (0) 2021.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