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
금융 전문가 사이의 비트코인에 대한 기대가 낮아진다. 오히려 평가가 높아지는 것은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은 거래 기록을 입력한 블록을 시계열로 체인처럼 연결해 관리하는 시스템이면 이로써 부정한 거래나 중복 사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처음에 블록체인은 단순히 비트코인 시스템을 뒷받침하는 기술이였지만 현재는 가상화폐와 별개로 독립된 기술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중이다.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래 최대 발명으로 불린다. 비트코인보다는 블록체인 기술에 주목해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블록체인이 시대의 진정한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기대도 높아진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실증실험이 진행 중인데 금융계에서는 무역 금융, 신디케이트 론, 채권 발행 등 다방면에 걸쳐 실증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망한 것이 국제 송금이나 증권 결제 분야다. 또한 블록체인 응용 범위은 금융계 뿐아니라 비 금융분야의 토지 등기, 의료 정보, 선거 시스템, 다이아몬드 인증서 등에도 미친다. 최근 블록체인은 분산형 장부 기술이라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네트워크 내 참가자가 소유권의 기록을 분산에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은 사실상 거래 기록의 수정이 불가능하고 장애나 시스템 다운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가장 주목 받는 요인 중 하나는 비용이 극적으로 절감될 가능성이 다. 블록체인 활용하면 금융 거래에 드는 비용이 약 10분에 1까지 줄어들 거라는 견해도 있다.
비트코인 등의 가상화폐가 사적인 디지털화폐라면 중앙은행이 발행하려고 하는 것은 공적인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라고 할 수 있다. 앞에 역사를 돌이켜봤을때 인간은 각 시기에 최신 기술을 사용해서 화페를 발행해왔다. 그러므로 블록체인이라는 혁신적 기술을 출현함에 따라 디지털화폐를 발행하려는 시도는 그야말로 역사의 필요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중앙은행이 디지털화페를 발행하면 그 디지탈 화폐에 - 금리를 부과하는 등의 새로운 경제 정책을 펼치는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다. 즉 디지털화폐 발행에 의해 금융 정책의 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N미래연구소 > 디지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이 화폐가 될 것인가 (0) | 2021.02.15 |
---|---|
비트코인 채굴시스템 (0) | 2021.02.15 |
비트코인 작업증명 (0) | 2021.02.14 |
비트코인 메커니즘 (0) | 2021.02.14 |
가상 화폐 P2P 네트워크 (0) | 2021.02.13 |